본문 바로가기
융합 연구자로서 주의해야 할 것/단점보다 장점에 치중하라

시지각 정보처리와 난독증 II

난독증에 대한 융합연구의 필요성
발달성 난독증(이후 난독증)은  정규 교육을 받고 지능이 정상범위임에도, 읽기, 쓰기, 철자법에 관한 기술들을 습득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 신경학적 학습장애로 정의된다 (International Dyslexia Association, 2002). 다양한 하위 유형으로 인해 하나의 원인으로 난독증을 설명하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현재 진단과 중재는 주로 음운 표상의 손상이 원인이라고 주장되는 음운론적 가설(phonological hypothesis)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난독증의 원인이 구체적으로 합의되지 않은 상황에서 한가지 중재방법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는 한계가 여러 연구에서 지적되고 있다 (Smith-Spark & Gordon, 2022). 음운론적 가설은 모든 범위의 읽기 장애 프로파일을 설명하지 못하며 (Share & Stanovich, 1995), 음운 표상의 손상이 없어도 난독증을 보이는 케이스가 보고되기도 한다 (Lachman et al., 2005). 특히, 음운론적 가설은 음운 표상 손상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지 못한다 (Stein, 2019). 난독증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여러 가설들이 제기된다 (Pacheco et al, 2014).
 
한글의 시각적 특수성을 고려한 연구 및 한글 난독증의 시지각 정보처리의 신경기전에 관한 연구 부족
난독증에 관한 연구가 영어권을 중심으로 많이 진행되어 있으나 한글 난독증에 대한 연구는 많이 축적되어 있지 않다 (김용욱 등, 2015). 심층음운체계인 영어와 표층음운체계인 이태리어를 비교한 연구에서 난독증 양상은 문자체계의 영향을 받는다는 보고가 있다 (Paulesu et al., 2001). 한글도 표층음운체 계이지만 문자 체계의 특수성 때문에 시각정보처리과정에서 알파벳을 사용하는 언어권과는 다른 처리 양상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한글은 가획에 따라 음성적 자질이 달라지는 세계 유일의 자질문자이다 (이익섭, 1992; Sampson, 1990). 또한 한글은 음소문자임에도 불구하고 각 음절이 블록 형태의 ‘글자’로 표기되는 기하학적인 문자 체계이다. 표기상의 양면성 때문에 한글은 ‘알파벳-음절체 구조(alphabetic syllabary)’로 묘사된다(Taylor & Taylor, 1995). 한글은 모아쓰기를 하기 때문에 수평적 구조를 가진 알파벳 문자와는 시각정보처리의 양상이 다를 가능성이 있다.  미세한 공간정보처리 능력이 요구된다 (주성준, 2021). 이러한 한글의 시각적 특수성을 고려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난독증 연구가 부족하다(최나야, 2009). 특히 신경기전에 관한 연구가 많이 시도되어 있지 않다 (주성준, 2021).
 
난독증의 시각정보 처리에 관한 기존의 실험심리학과 신경심리학  연구
 
마그노셀룰러 가설: 난독증이 시각처리의 이중경로 중 마그노셀룰러 경로(M 경로)의 결함에 의해 발생한다고 제안한다. M 경로는 초기 시각 정보 처리, 특히 빠른 시각 처리, 움직임, 공간 정보 처리 등에 관여하는 신경 경로이다. 이 가설에 따르면 난독인은 M 경로의 결함에 의해 읽기 등 빠른 시각 처리가 필요한 작업에 어려움을 겪는다 (Stein, 2021; Grinter et al., 2010). M 경로는 휘도 대비(luminance contrast)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정상인은 등휘도 조건(isoluminance condition)일 때, 과제 수행능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Livingstone & Hubel, 1987).
 
Global-local processing이 정상인과 난독인에게서 다른 처리 양상을 보인다. 두 처리과정 중 과제의 특성에 따라 한가지 처리과정만 동원하는 경향을 보인다 (Goldstein-Marcusohn, 2020; Sigurdardottir et al., 2021). 
 
공간적 관계: 한글의 자소들은 초성, 중성, 종성의 공간적 위치에 배열되는 ‘모아쓰기’에 의해 한 음절을 구성하기 때문에, 한 글자를 지각하기 위해서 자소들이 위치한 상하좌우의 공간적 관계에 대한 계산이 필요하다 (주성준, 2021).
 
공간적 주의 기능: 읽기와 관련된 인지능력이 주의기능과 관련이 있어 난독증과 ADHD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가 다수 있다. 특히 공간적 주의 기능의 약화가 보고된다 (Redmond, Ash, & Hogan, 2015; Shaywitz & Shaywitz, 2008).
    
반응형
SMALL